수도권 경기 외곽 지역은 인구 소멸 위기 |
한국 고용정보원이 제시한 방식에 따라 수도권 시군구의 지방소멸위험지수를 분석한 결과 경기외곽 지역은 인구 소멸 위기 위험단계로 진행되고 있다.
[서울・인천・경기의 인구구조 상이,2015년 이후유사한 양상으로 변화 예상]
수도권의 인구구조를 살펴보면 수도권 내에서도 서울과 인천・경기의 인구구조는
상당히 다른 양상을 나타내고 있다. 서울은 1985년에는 20~30대 인구가 가장 많
고 고령인구가 적었지만, 2000년에는 유소년인구의 감소가 시작되고 2015년부터
는 학령인구의 감소와 고령인구의 증가 현상이 눈에 띄게 높게 나타나고 있다. 이
와 같은 서울의 학령인구의 감소 현상은 2040년까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.
2015년 이전 인천・경기의 인구구조는 매우 비슷한 형태를 보이고 있다. 특히2000
년까지는 인구구조의 변화 없이 양적 팽창만 진행되었으나, 2000년부터 30~40대
인구와 유소년인구가 증가하는 것이 서울과의 차이점이라 할 수 있다.
그러나 인천・경기도 2015년 이후에는 서울과 유사하게 학령인구의 감소와 고령인
구의 증가가 두드러지게 나타나기 시작하여 2030년과 2045년에는 서울과 유사한
형태로의 변화가 예상된다.
2045년에는 서울과 인천, 경기 모두에서 유소년인구와 고령인구의 인구구조가 역
전되는 초고령사회로의 진입이 예상되고 있다.
수도권 경기 외곽 지역은 인구 소멸 위기
최근댓글